전극도자절제술이후 24

심방세동의 날(김영훈 교수님편)- 무엇이든 물어보셔요

https://youtu.be/RNrN2UgB8UE 개인적 요점정리 심방세동이 오래되면 될수록 심장 내에 상처 조직을 만듭니다 무호흡증은 반드시 해결을 해야합니다 발작성 심방세동은10명중에1명정도 재발합니다 치료 중 예방접종해도 되나요?(대상포진, 페렴 등) 네 하셔도 됩니다. 혈전약 ; 출혈이 생깁니다, 눈에 충혈도 생기고 가래에서 피도 나오고 온몸에 출혈 경향이 생깁니다 시술이 대중화 되었다고 하셨는데, 대학병원과 지방병원의 차이가 있는지. 그 위험도라던가 효과라던가 차이가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요즘은 장비, 시설, 팀등 어느 것들이 갖추어져 있다면, 그렇게 편차가 많지 않습니다. 다만 합병증 같은 시술할때 잘못 되었을 때 그것을 빨리 대처할 수 있는 그런 팀이 잘 갖추어져 있는가. 그렇다면 제가 봤..

a-fib.com 카페지기의 심방세동 최근서적 리뷰

a-fib.com 카페지기 Steve S. Ryan, PhD박사의 서적후기 Book Review : “Your Complete Guide to AFib” by Percy Morales, MD Published March 17, 2021. 반평생 항응고법 모랄레스 박사는 카테터 절제술로 A-Fib를 완치한 환자의 경우 평생 항응고제를 복용해야 한다고 말한다. [사실이 아닙니다.] "카테터 절제술을 받은 환자에게도 뇌졸중 위험 감소 전략이 필요하다."(페이지 116) [이건 말이 안 돼. 더 이상 AFIB가 없으면 AFIB 뇌졸중이 발생할 수 없습니다.] a-fib.com 카페지기 Steve S. Ryan, PhD박사는 카테터시술후 심방세동이 사라지면 항응고제 복용에 반대의견 -----------------..

암진행 예방치료

혈뇨로 발견한 방광용종을 수술로 완전히 긁어내고, 조직검사한 결과 암으로 진행확률이 높은 신생물(세포종양)단계로 보며 암진행 예방치료를 하려하는데 계속되는 혈뇨로 치료할 수가 없다. 릭시아아로 바꾼이후 현재 5일째 육안상 혈뇨가 없다하니 일주일 더 경과보고 결정하자며 치료를 늦춘다. 현재로선 약물성 혈뇨로 보는 것 같다 그러나 릭시아나로 바꾼후에도 현미경혈뇨는 지속적인거 같고 육안혈뇨도 매일 보인다 참고로 내 스스로 혈뇨원인을 찾아 증상과 비교 아닌것을 지워보니 약물성 혈뇨만 남는다 의사가 원인을 못찾은 것도 10~15%라니 어렵네요. (추가 쓰기) 열심히 혈뇨원인 찾다보니 또 호두까기병(Nutcracker 증후군)이 있는데 나에게 적용 될 가능성이 그래도 많은거 같아 SBS방송에 나온 의사샘 병원에 가..

프라닥사에서 릭시아나로 바꾸다

항응고제 ​ 2015년 심방세동 진단후 서울 성모병원 2개월, 이후 고대안암에서 만 5년동안 먹던 프라닥사를 끊고 릭시아나로 바꿉니다. 샘이 두번이나 바꾸자고 권유했지만 새로운 약에 대한 부작용염려로 거부했는데 혈뇨를 1년가까이 경험하고 더이상 고집부리기에 한계를 느껴 수용했읍니다 혈뇨로 찾아낸 방광종양(편의상 암0기)을 제거해도 혈뇨는 계속되고 비뇨기과 의사는 항혈전제를 끊자고 하며 순환기(심장)내과 소견을 받으려 하지만 순환기(심장)내과에서는 뇌경색방지를 위해 최소한의 약복용이 불가피하다며 릭시아나라도 먹어야한다는 의견이네요 출혈은 수혈로 치료되지만 뇌경색은 일단 발병하면 회복불능의 사태가 나는데 누가 책임지냐는 거지요? 참고로 출혈이 심하면 출혈부위의 혈관으로 암치료약(균 주사)이 퍼져 진짜 병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