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85

운동이 무리한지 부정맥느낌이 들때

작년부터 증상을 EKG로 잡지 못했지만, 휴대용으로는 심방세동 증상이 보인다고 하여 걱정하던차에 혈액검사와 운동부하검사를 했다 총액 W164,059중 본인부담금W98,400 비싼 주요검사 내용(총액기준) 혈액 검사(NT pro BNP) - W53,937 - 이검사로 심장기능이상과 심장비대등 진찰가능 운동부하검사 - W39,390 의사면담 진료시 심장기능, 콩팥기능,간기능 양호하고 혈압, 적혈구,백혈구수치 모두 적절하다고 해서, 운동부하검사중 2단계에서 이상징후 느껴 멈추고 3단계는 하지 못했다고 하니 3초정도 비지속성 빈맥이 있었다며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듯 했다 나한테는 처음 생긴 부정맥종류다. 가끔 심장 잔떨림이 1~2분씩 느껴지다 사라지는 경우가 있는데 심방세동 재발인지 우려된다 하니 다음진료시 ..

심방세동과 뇌졸중예방 항응고제

뇌경색은 뇌에 자리잡고 있는 혈관이 막혀 일부분이 죽게 되는 질환입니다. 동맥경화증 or 동맥염 등에 의해 혈관의 벽이 불순물이 생겨 일어나기도 합니다 응급실에서 혈관의 혈전을 녹여주는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뇌출혈; 뇌에 있는 혈관이 찢어져 출혈이 나오는 데미지를 입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뇌졸중은 뇌경색,뇌출혈을 합해서 통칭 국내 뇌졸중 환자 중 15~20%가 심방세동으로 인해 발생한것으로 추정 됨 심방세동 진단 후 1년 이내 허혈성 뇌졸중 발생률이 6%로 나타나 진단 후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 (항응고제 복용) ​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자는 2만 2940명으로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44.6명(0.446%) 고주파 카테터 시술후 심방세동 환자에서 허혈성 뇌졸중 연간 발생률은 기존 외국연구는 0.70%..

카테고리 없음 2022.03.13

전극도자절제시술과정에서 발생하는 혈전문제

전극도자절제시술과정에서 발생하는 혈전문제 “절제하는 동안 혈전이 생길 위험이 얼마나 됩니까? 그럴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어떻게 이 혈전을 예방할 수 있습니까?” A-Fib에 얼마나 오래 있었는지에 따라 혈전이 심장에서 발생하고 절제 중에 제거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센터는 절제 전에 TEE(경식도 심장초음파)를 실시하여 심장에 혈전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발견하면 항응고제를 투여하여 절제 전에 혈전을 용해시킵니다. 센터나 의사가 절제 전에 TEE를 할 계획이 없다면 아마도 다른 곳으로 가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절제 중 대부분의 혈전은 RF 탄화로 인해 발생합니다. RF 카테터의 열은 심장 조직을 탄화시킵니다. 숯의 일부가 떨어져서 응고가 됩니다. 이 문제는 관개 팁 카테터를 사용하고 절제 중에 헤파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