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85

심방세동의 뇌졸증및 예방(아주 작아진 심장모니터)

미국 a-fib.com/에서 자료 해석(부족한 점은 원문참조) 뇌졸중 재발방지를 위한 심장 모니터 (ICM) ; 2021 년 2 월 8 일 발행. CRYSTAL-AF 무작위 대조 시험은 원인을 알수 없는 뇌졸중 환자 (원인을 알 수 없는 뇌졸중 환자의 20~40%)를 조사했습니다. 이러한 뇌졸중은 미국에서 매년 약 175,000 건의 허혈성 뇌졸중을 차지합니다 (American Stroke Association). 이러한 유형의 뇌졸중은 감지되지 않은 무증상 A-Fib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환자들은 A-Fib을 감지하기 위해 Medtronic Reveal LINQ 루프 레코더와 같은 삽입형 심장 모니터 (ICM)를 받았습니다. 피부 아래에 삽입되어 3 년 동안 24시간 작동합니다. (하나 있습..

카테고리 없음 2021.02.19

암진행 예방치료

혈뇨로 발견한 방광용종을 수술로 완전히 긁어내고, 조직검사한 결과 암으로 진행확률이 높은 신생물(세포종양)단계로 보며 암진행 예방치료를 하려하는데 계속되는 혈뇨로 치료할 수가 없다. 릭시아아로 바꾼이후 현재 5일째 육안상 혈뇨가 없다하니 일주일 더 경과보고 결정하자며 치료를 늦춘다. 현재로선 약물성 혈뇨로 보는 것 같다 그러나 릭시아나로 바꾼후에도 현미경혈뇨는 지속적인거 같고 육안혈뇨도 매일 보인다 참고로 내 스스로 혈뇨원인을 찾아 증상과 비교 아닌것을 지워보니 약물성 혈뇨만 남는다 의사가 원인을 못찾은 것도 10~15%라니 어렵네요. (추가 쓰기) 열심히 혈뇨원인 찾다보니 또 호두까기병(Nutcracker 증후군)이 있는데 나에게 적용 될 가능성이 그래도 많은거 같아 SBS방송에 나온 의사샘 병원에 가..

프라닥사에서 릭시아나로 바꾸다

항응고제 ​ 2015년 심방세동 진단후 서울 성모병원 2개월, 이후 고대안암에서 만 5년동안 먹던 프라닥사를 끊고 릭시아나로 바꿉니다. 샘이 두번이나 바꾸자고 권유했지만 새로운 약에 대한 부작용염려로 거부했는데 혈뇨를 1년가까이 경험하고 더이상 고집부리기에 한계를 느껴 수용했읍니다 혈뇨로 찾아낸 방광종양(편의상 암0기)을 제거해도 혈뇨는 계속되고 비뇨기과 의사는 항혈전제를 끊자고 하며 순환기(심장)내과 소견을 받으려 하지만 순환기(심장)내과에서는 뇌경색방지를 위해 최소한의 약복용이 불가피하다며 릭시아나라도 먹어야한다는 의견이네요 출혈은 수혈로 치료되지만 뇌경색은 일단 발병하면 회복불능의 사태가 나는데 누가 책임지냐는 거지요? 참고로 출혈이 심하면 출혈부위의 혈관으로 암치료약(균 주사)이 퍼져 진짜 병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