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85

심실조기수축

노태호 박사님의 부정맥이야기 blog.naver.com/dr_heart/222049121763 증상이 별로 없지만 매우 자주 발생하는 심실 조기수축 환자에서 전극도자절제술을 해야 하나? 좌심실의 기능장애가 없고 증상도 별로 없는 환자에서 심실조기수축이 자주 발생한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 ... blog.naver.com 요점 좌심실의 기능장애가 없고 증상도 별로 없는 환자에서 심실조기수축이 자주 발생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이런 경우 전문가의 의견도 100% 일치하지 않는다.

카테터 절제술로 치매 위험 감소

https://a-fib.com/ 자료번역 연구: 심방세동을 위한 카테터 절제술로 치매 위험 감소 2021년 3월 8일 발행. 한국의 한 중요한 연구에서, 연구원들은 A-Fib를 위한 카테터 절제술에 성공한 환자들이 치매의 위험을 줄였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전의 연구는 A-Fi가 치매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정상리듬으로 치매 감소 직관적으로 A-Fib에서 정상리듬으로 가는 것이 뇌로 가는 혈류를 증가시키고 개선시켜 뇌 기능을 향상시킨다고 생각할 것이다. 실제로 이 소급 연구에서 카테터 절제술은 약물만으로 A-Fib를 제어하려고 했던 사람들에 비해 치매 발병률을 거의 1/3(27%) 줄였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의 한 종류이다. 이들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료를 이용해 절제수술을 받은 ..

리듬관리가 심박수관리보다 더 나은지 확인한 새로운 연구

a-fib.com/steves-a-fib-blog/ 리듬관리가 심박수관리보다 더 나은지 확인한 새로운 연구 EAST-AFNET 4는 뇌졸중 예방을 위한 심방세동의 조기 치료의 약자로, 2011년에 시작되었다. EAST-AFNET 4 실험은 초기 A-Fib(및 기타 심혈관 질환)를 가진 2,789명의 환자를 연구했다. 그들은 초기 리듬 관리 또는 심밗관리("일반적인 관리")에 무작위화되었다. "초기 리듬관리"에는 부정맥 치료제 또는 심방세동 카테터 절제술이 포함되었다. 등록 1년 미만(진단 후 중위시간이 36일)으로 진단받은 경우 환자가 포함됐다. 연구 기간: 환자들은 약 5년 동안 추적되었다. 검사된 주요 결과는 심혈관 질환, 뇌졸중, 또는 심장 기능 상실 또는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첫 번째 주요 결과)..

심방세동 일반 2021.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