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실빈맥

난치성 심실부정맥에 효과적인 심실내 바늘카테터 절제술

분모남 2019. 4. 20. 11:23

난치성 심실부정맥에 효과적인 심실내 바늘카테터 절제술

2003년에 개발되어 동물실험을 거친거  같은데 활발히 이용되지 못한거 같고요 

2018년 5월 에 나온 보고서부터 많이 인용되고 적극적으로 사용될 느낌이 듭니다.

이제까지는 임상실험단계가 아닐까?  잠깐 자료조사하고 생각한 추측입니다.


아직 보편화되지 않은 시술방법이지만  자료올립니다

https://www.dicardiology.com/content/intramural-needle-ablation-effective-refractory-ventricular-arrhythmias

  



 

Intramural Needle Ablation Effective for Refractory Ventricular Arrhythmias<NEWS | MAY 21, 2018>

#HRS2018

 

May 21, 2018 The available electrophysiology catheter ablation technologies are not designed for use in the ventricular anatomy, so a new needle ablation catheter from Biosense Webster was tested in a study to assessed the safety.[1] The six-month data from the study was presented at Heart Rhythm 2018, the Heart Rhythm Society’s 39th Annual Scientific Sessions.

 

All of the patients had failed using a standard approach and then using the needle we were able to get rid of their tachycardia

 

All 31 patients included in the trial failed standard ablation and medical therapy. However, the needle-based system was able to eliminate their tachycardia.

 

Intramural origin is an important cause of ventricular arrhythmia (VA) ablation failure that we are attempting to address with an irrigated needle ablation catheter.

 

This study assessed the safety and six-month outcome of irrigated needle ablation in patients with sustained monomorphic ventricular tachycardia (VT) and structural heart disease or nonsustained ventricular arrhythmia and left ventricular (LV) dysfunction not responsive to antiarrhythmic drugs and standard catheter ablation.

 

Patients were enrolled at three centers.

At putative target sites selected based on endocardial mapping, the 27 gauge needle was deployed up to 10 mm into the myocardium for recording and pace mapping. Then irrigated with contrast/saline for radiofrequency (RF) ablation with current titrated to a maximum needle temperature of 60 degrees Centigrade.

 

Irrigated needle ablation was performed in 31 patients at the three centers. Most patients had nonischemic heart disease (NICM) with sustained monomorphic VT (table).

A median of 15 RF needle applications per patient were delivered to selected RV/LV septum and free wall sites.

 

 

Links to all the Heart Rhythm 2018 Late-breaking Studies

 

 

Reference:

 

1. Intramural Needle Ablation for the Treatment of Refractory Ventricular Arrhythmias. ClinicalTrials.gov Identifier: NCT03204981. https://clinicaltrials.gov/ct2/show/NCT03204981

 

난치성 심실부정맥에 효과적인 심실내 바늘카테터 절제술


사용 가능한 전기 생리 카테터 절제 기술은 심실 해부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되지 않았으므로 Biosense Webster의 새로운 바늘 절제 카테터가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에서 테스트되었습니다.

이 연구의 6 개월 데이터는 Heart Rhythm 2018, Heart Rhythm Society39th Annual Scientific Sessions에서 발표되었습니다.

 

모든 환자가 일반적 카테터의 접근방식을 사용하지 못하고 바늘카테터를 사용하여 빈맥을 제거 할 수 있었습니다.

 

시험에 포함 된 31 명의 모든 환자는 일반적 카테터의 절제시술 및 약물요법에서 실패했다.

그러나 바늘 기반 시스템은 빈맥을 제거할 수 있었습니다.

심실내막병소는 심실부정맥 (VA) 절제 실패의 중요한 원인이며

관개된 바늘카테터절제로 해결하려고 합니다.

 

이 연구는 지속적인 단형 심실빈맥 (VT)<https://blog.naver.com/dr_heart/150178150860>

구조적 심장병 또는

지속성 부정맥 및

좌심실 (LV) 기능 장애를 가진 환자에서

관개된 바늘 카테터절제시술의 안전성과 6 개월 결과를 평가했다.

 

환자는 3 곳의 센터에 입원했다.

심장 내막 매핑을 기반으로 선정된 추정 대상 국소(병소)에서

27 게이지 바늘을 기록 및 페이스 매핑을 위해 심실내근에 최대 10 mm 배치했습니다.

그런 다음 전류가 ​​60 인 최대 바늘 온도로 맞추어 RF (radiofrequency) 절제시술을 위해 대조 / 식염수로 관개되었습니다.

 

관개 된 바늘 카테터절제술은 세 곳의 센터에서 31 명의 환자에 대하여 수행되었다.

대부분의 환자는 지속적인 단형심실빈맥 (table)를 지닌 비 허혈성 심장 질환 (NICM)이 있었습니다.

환자 당 평균 15 개의 RF 바늘이 RV / LV 중격(septum) 및 자유벽(free wall) 부위로

전달되었습니다.


참고그림 

 

free wall중 노란색부터 오른쪽으로 심장외막

  




바늘 카테터로 시술한자리

 


캐나다 자료 

2014220

https://academic.oup.com/europace/article/16/11/1684/603463

The experimental protocol was approved by the University Health Network ethics committee and the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from each patient.

실험 프로토콜은 대학 보건 네트워크 윤리위원회 (University Health Network Ethics Committee)의 승인을 받았으며 각 환자로부터 정보에 입각 한 동의가 획득되었습니다.

 

Abstract

Aims

Current conventional ablation strategies for ventricular tachycardia (VT) aim to interrupt reentrant circuits by creating ablation lesions. However, the critical components of reentrant VT circuits may be located at deep intramural sites. We hypothesized that bipolar ablations would create deeper lesions than unipolar ablation in human hearts.

요약

목표

심실 성 빈맥 (VT)에 대한 현재의 통상적 인 절제술 전략은

절개 병변을 생성함으로써 재진입 회로를 차단하는 것을 목표로한다.

그러나, 재진입 VT 회로의 핵심 구성 요소는 깊은 심막내 국소에 있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양극성 절제가 심장에서 단극 절제술보다 더 깊은 병변을 만들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Methods and results

Ablation was performed on nine explanted human hearts at the time of transplantation.

Following explant, the hearts were perfused by using a Langendorff perfusion setup.

For bipolar ablation, the endocardial catheter was connected to the generator as the active electrode and the epicardial catheter as the return electrode.

 

Unipolar ablation was performed at 50 W with irrigation of 25 mL/min, with temperature limit of 50°C. Bipolar ablation was performed with the same settings. Subsequently, in a patient with an incessant septal VT, catheters were positioned on the septum from both the ventricles and radiofrequency was delivered with 40 W.

 

In the explanted hearts, there were a total of nine unipolar ablations and four bipolar ablations.

The lesion depth was greater with bipolar ablation, 14.8 vs. 6.1 mm (P < 0.01), but the width was not different (9.8 vs. 7.8 mm).

All bipolar lesions achieved transmurality in contrast to the unipolar ablations.

In the patient with a septal focus, bipolar ablation resulted in termination of VT with no inducible VTs.

방법 및 결과

절제시술은 당시 9 명의 이식당시 이식된 환자심장에 이루어졌다.

이식다음, 심장은 Langendorff 재관류 설치기를 사용하여 관류되었습니다.

양극 절제술의 경우, 내막 카테터를 발전기와 활성 전극으로 연결하고 심외막 카테터를 복귀 전극으로 연결했습니다.

단극 절제는 50 mL의 온도 한계로 25 mL / min의 관개로 50 W에서 수행되었다.

동일한 설정으로 양극 절제술을 시행했습니다.

이어서 중격(septum) 결손부위의 지속성 빈맥환자에서 카테터를 두 심실의 중격에 위치시키고 고주파를 40W로 전달했다.

 

심장이식에서 총 9개의 단극 절제시술과 4개의 양극 절제시술이 있었다.

병변의 깊이는 양극성 절제술에서 14.8 vs 6.1 mm (P <0.01)로 더 컸지만

폭은 차이가 없었다 (9.8 vs 7.8 mm).

모든 양극성 병변(상흔)은 단극성 절제시술과 달리 全壁에서 이루어졌다.

중격에 병소를 가진 환자에서 양극카테터 절제시술은 유발이 안되는 빈맥환자에게서 빈맥을 종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급성기 이후의 심전도 패턴을 바탕으로, Qwave AMI nonQ wave AMI로 나누기도 하는데, 이는 심근 괴사가 全壁(transmural)에 걸쳐서 발생했느냐의 유무에 따라서 구별되는 것이며, 심기능 회복 가능성을 예견할 수 있다. infarct transmurality50%를넘지 않을 경우는 경색 심근 부위의 수축능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http://blog.daum.net/j6459/1262

 새로운 것은 무엇입니까?

인간에 대한 양극절제시술 중 병변(상흔형태에 대한 최초 연구.

 

인간 심근에 양극성 고주파절제술 병변은 (기존)표준 단극절제술 병변보다 더 깊지만 넓지는 않습니다.

 

양극 절제시술은 단극 절제술(기구)로 접근 할 수 없는 깊은 심근 내막내 (빈맥)회로에 적합 할 수 있다

 

양극 절제시술은 중격 및 심근 심실 빈맥 회로의 절제를 위한 툴킷의 필수적인 부분 일 수 있습니다.

 

 

Conclusion

By using a bipolar ablation technique, we have demonstrated the creation of significantly deeper lesions without increasing the lesion width, compared with standard ablation. Further clinical trials are warranted to detail the risks of this technique.

결론

양극 절제술기법을 사용하여 (기존)표준절제술과 비교하여 병변(상흔)폭을 증가시키지 않고 훨씬 더 깊은 병변을 만들 수 있음을 입증했습니다. 이 기술의 위험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추가 임상 실험이 필요합니다.

 

 

What's new?

First study of the lesion morphology during human bipolar ablation.

 

Bipolar radiofrequency ablation lesions in human myopathic hearts are deeper, but not wider than standard unipolar lesions.

 

Bipolar ablation may be suited for deep intra-myocardial circuits, not accessible with unipolar ablation.

 

Bipolar ablation may be an essential part of the toolkit for ablation of septal and mid-myocardial ventricular tachycardia circuits.

 


새로운 것은 무엇입니까?

인간에 대한 양극절제시술 중 병변(상흔형태에 대한 최초 연구.

 

인간 심근에 양극성 고주파절제술 병변은 (기존)표준 단극절제술 병변보다 더 깊지만 넓지는 않습니다.

 

양극 절제시술은 단극 절제술(기구)로 접근 할 수 없는 깊은 심근 내막내 (빈맥)회로에 적합 할 수 있다

 

양극 절제시술은 중격 및 심근 심실 빈맥 회로의 절제를 위한 툴킷의 필수적인 부분 일 수 있습니다.

 



 다른출처자료

http://www.onlinejacc.org/content/73/12/1413

Infusion Needle Radiofrequency Ablation for Treatment of Refractory Ventricular Arrhythmias

William G. Stevenson, Usha B. Tedrow, Vivek Reddy, Amir AbdelWahab, Srinivas Dukkipati, Roy M. John, Akira Fujii, Benjamin Schaeffer, Shinichi Tanigawa, Ihab Elsokkari, Jacob Koruth, Tomofumi Nakamura, Aditi Naniwadekar, Daniele Ghidoli, Christine Pellegrini and John L. Sapp

 

Abstract

Background

 

Catheter ablation is effective for eliminating most drug-refractory ventricular arrhythmias (VA). However, a major reason for procedural failure is arrhythmia originating deep within the myocardium where it is inaccessible to conventional endocardial or epicardial approaches. Affected patients have limited therapeutic options.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afety and outcome of a novel radiofrequency ablation catheter that used an extendable/retractable 27-g needle capable of targeting deep arrhythmia (intramural) substrate.

 

Methods

Patients who failed at least one prior catheter ablation procedure for sustained ventricular tachycardia (VT) or nonsustained VA with associated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were enrolled at 3 centers.

The target was sustained monomorphic VT in 26 patients, including 8 with recent VT storm or VT requiring intravenous medication, and 5 with incessant VA associated with ventricular dysfunction.

 

Results

Needle ablation was performed in 31 patients (median of 2 failed prior ablation procedures; 71% nonischemic heart disease).

After a median of 15 needle lesions/patient, ablation abolished at least 1 inducible VT in 19 of 26 VT patients (73%),

and suppressed ambient arrhythmia in 4 of 5 nonsustained arrhythmia patients.

 

At the 6-month follow-up, 48% of patients were free of recurrent arrhythmia and another 19% were improved.

Procedure-related complications included a single pericardial effusion treated with percutaneous drainage and a left ventricular pacing lead dislodgement with no deaths.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recurrent ventricular arrhythmias refractory to medications and conventional catheter ablation, intramural needle radiofrequency ablation offers significant arrhythmia control with an acceptable procedural risk.

 

요약

배경

카테터 절제술은 약물치료가 안되는 심실빈맥 (VA)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시술 실패의 주된 이유는 심실빈맥이 심실내막 깊숙한 곳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며, 심실빈맥은 재래식 심내근 또는 심외막 접근법으로는 접근 할 수 없습니다.

이병에 걸린 환자는 치료 옵션이 제한되어 있습니다.(절제술치료 선택이 곤란;실패가 많다)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심실빈맥 (심실내막) 병소를 표적으로 할 수 있는 신축성 있는 27g 바늘을 사용하는 새로운 radiofrequency ablation catheter의 안전성과 결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방법

지속적인 좌심실 빈맥 (VT) 또는 좌심실 기능 부전을 동반 한 지속되지 않은 VA(심실부정맥)에 대한 적어도 한번의 사전 카테터 절제술을 실패한 환자를 3 곳의 센터에 등록시켰다.

대상자는 정맥주사약물 치료가 필요한 VT(심실빈맥) 환자 혹은 최근 폭풍같은 심실빈맥이 있었던 8 명과 심실 기능 장애와 연관된 지속적인 심실부정맥(ventricular arrhythmia)이 있는 5 명을 포함해 26명의 환자에서 단형VT(심실빈맥) 환자로 했다.

 

결과 (해석이 도저히 안됨)

Needle ablation31 명의 환자에서 시행되었다 (2 건의 중위수는 이전 절제술 실패; 71 % 비허혈 심장병).

이후 15 바늘 절제흔/ 환자의 중위수, 실심빈맥환자 26 명 중 19 (73 %)이 적어도 1 번 빈맥유도실패하여 절제술이 포기됨

5 명의 비지속성 부정맥 환자 중 4 명에서 주변부정맥을 억제했다.

 

6 개월 추적 관찰에서 환자의 48 %는 재발 성 부정맥이 없었고 19 %가 호전되었다.

시술 관련 합병증으로는 경피 배액으로 치료한 단일 심낭 삼출과 사망이 없는 좌심실 페이싱 리드 이탈이 포함되었다.

 

결론

약물 치료와 재래식 카테터 절제술로 치료가 안되는 재발성 심실부정맥 환자의 경우,

심실내막내 바늘 고주파 절제술은 받아 볼 만한 시술 위험성이 있는 유의미한 부정맥 치료로 제공합니다.




아래 자료는  심실내막내 바늘 고주파 절제술 역사를 알기 위한 조사였읍니다 

2003년도 출처자료

Radiofrequency ablation of the left ventricle using an endocardially placed electrode is unable to reliably create transmural lesions even with active electrode cooling.

To produce deeper radiofrequency lesions, the authors developed and tested a prototype intramural needle ablation catheter that had a distal 1.1-mm diameter straight needle that could be advanced 12 mm into the myocardium. Freshly excised hearts from eight male sheep were perfused and superfused with oxygenated ovine blood.

심장 내막으로 배치 된 전극을 사용하는 좌심실의 고주파 절제는 능동적인 전극 냉각에서도 안정적으로 심실내막의 병변을 만들 수 없습니다.

더 깊은 radiofrequency 병변을 만들기 위해, 저자는 심근에 12 mm 전진시킬 수 있는 원위 1.1 mm 직경의 직선 바늘을 가진 프로토 타입 심막내 바늘 절제 카테터를 개발하고 테스트했습니다.

여덟 마리의 수컷 양에서 채취 싱싱한 심장을 관류시키고 산소가 함유 된 양의 피로를 주입시켰다.

 

Ablations were performed for 60 seconds with the prototype catheter and a conventional 5-mm irrigated tip ablation catheter at target temperatures of 90 degrees C and 50 degrees C, respectively.

The ablation lesions were bisected and stained with blue tetrazolium to assess lesion geometry. The irrigated tip ablation catheter required significantly more power than the intramural needle ablation catheter (37.7 +/- 7.3 vs 6.4 +/- 2.1 W, P < 0.01).

Intramural needle lesions were significantly deeper (12.5 +/- 3.0 mm vs 8.3 +/- 2.1 mm, P < 0.01) but less wide (3.9 +/- 1.1 mm vs 11.5 +/- 2.0 mm, P < 0.01) than irrigated tip lesions.

절개는 90C50 C의 목표 온도에서 각각 (바늘 전극이 있는)원형 카테터와 전통적인 5 mm 관개 팁 절제 카테터로 60 초 동안 수행되었습니다.

절제 병변을 2 등분하여 파란색 tetrazolium으로 염색하여 병변 모양를 평가했다.

관개 팁 절제 카테터는 심막내 주사 바늘 절제 카테터 (37.7 +/- 7.3 vs 6.4 +/- 2.1 W, P <0.01)보다 훨씬 더 많은 힘을 필요로했다.

심막내 바늘 병변은 (기존)관개형 팁카테터병변보다 깊숙히 들어갔지만 (12.5 ± 3.0 mm 8.3 ± 2.1 mm, P <0.01)

폭은 덜 넓었다 (3.9 ± 1.1 mm vs 11.5 ± 2.0 mm, P <0.01) .

 

 

There was a high incidence of crater formation (74%), popping (45%), and myocardial charring (29%) during irrigated tip ablation; these phenomena were not observed during intramural needle ablation.

The intramural needle ablation catheter creates significantly deeper but narrower lesions without evidence of tissue boiling. This technology may be particularly useful for ablation of ventricular tachycardia originating from regions where tissue depth is increased, like the ventricular septum.

(기존)관개형 팁카테터 절제술 동안 분화구 형성 (74 %), 터지는 것 (45 %) 및 심근 석탄화(타버림) (29 %)의 빈도가 높았습니다.

이 현상은 바늘 전극카테터 절제시 관찰되지 않았다.

심막내바늘 절제 카테터는 조직 비등(타버림)의 증거없이 상당히 더 깊지만

좁은 병변을 생성합니다.

이 기술은 특히 심실 중격과 같이 조직 깊이가 증가하는 지역에서 발생한 심실성 빈맥의 절제에 유용 할 수 있습니다.

 

 

 

2004년도 출처자료(동물실험?)

Cooled intramural needle catheter ablation creates deeper lesions than irrigated tip catheter ablation

냉각 된 심실내 바늘 카테터 절제술은 관개 된 도관 절제술보다 더 깊은 병변을 만듭니다.

Aravinda Thiagalingam, Craig R Campbell, Anita C Boyd, Vicki E Eipper, David L Ross, Pramesh Kovoor

Pacing and Clinical Electrophysiology: PACE 2004, 27 (7): 965-70

 

Endocardial radiofrequency ablation of the left ventricle does not create transmural lesions reliably even with active electrode cooling. The authors developed a prototype catheter with an internally cooled needle electrode that could be advanced an adjustable distance into the myocardium.

Freshly excised hearts from eight male sheep were perfused and superfused using oxygenated ovine blood.

좌심실의 심내 (endocardial) radiofrequency ablation은 능동적인 전극 냉각에도 불구하고 내막내 절제상흔(transmural lesions)을 신뢰성있게 생성하지 않습니다.

저자들은 내부 냉각된 바늘 전극이 있는 원형 카테터를 개발하여 심근까지 조절 가능한 거리로 전진시킬 수 있었습니다.

여덟 마리의 수컷 양에서 채취한 싱싱한 심장을 산소처리 한 양의 피를 사용하여 관류하고 또 주입시켰다.

관류-灌流法

동물의 특정 기관의 혈관을 통하여 특정 액을 순환시키는 방법. 장기를 체내에서 꺼내거나 그대로 체내에 둔 채로 순환시켜 최대한 살아 있는 상태와 가깝게 유지시켜 준다.

 

Ablations were performed for 2 minutes using the prototype catheter and a conventional endocardial 5-mm irrigated tip ablation catheter at target temperatures of 80 degrees C and 50 degrees C, respectively.

The prototype catheter needle was inserted 12 mm deep for all ablations. The maximal power and irrigation rate was 50 W, 20 mL/min for the irrigated tip catheter and 20 W, 10 mL/min for the intramural needle catheter.

Ablation은 목표 온도 인 80 ° C50 ° C에서 각각 원형 카테터기존의 내막 5 mm 관개 팁 절제 카테터를 사용하여 2 분 동안 수행되었습니다.

프로토 타입 카테터 바늘은 모든 절제를 위해 12mm 깊이 삽입되었습니다. 최대 동력 및 관개 율은 관개 식 팁 카테터의 경우 50W, 20mL / 이었고 심실내 바늘 카테터의 경우 20W, 10mL / 이었다

 

 

Intramural needle lesions were significantly deeper (13.5 +/- 2.3 vs 9.1 +/- 1.3 mm, P < 0.01) but less wide (8.7 +/- 1.5 vs 12.7 +/- 1.9 mm, P < 0.01) than irrigated tip lesions.

Popping occurred during 12 (37%) of the 32 irrigated tip ablations. Popping did not occur during intramural needle ablation. The cooled intramural needle ablation catheter creates lesions that are significantly deeper than irrigated tip catheters with less tissue boiling. In contrast to irrigated tip ablation, electrode temperature monitoring can be used to determine if a lesion has been created during intramural needle ablation. The cooled intramural needle ablation lesions were of a clinically useful width, addressing one of the main recognized deficiencies of intramural needle ablation.

심실내 바늘 병변관개카테터 병변보다 유의하게 깊었으며 (13.5 ± 2.3 vs 9.1 ± 1.3 mm, P <0.01) 폭은 더 적었다 (8.7 ± 1.5 vs 12.7 ± 1.9 mm, P <0.01).

32 개의 관개카테터 절제술 중 12 (37 %)에서 터지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터지는 것은 심실내의 바늘 절제술 중에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냉각 된 심실내의 바늘 절제 카테터는 조직 비등점이 적은 관개 된 팁 카테터보다 현저히 더 깊은 병변을 생성합니다. 관개 카테터 절제술과 달리 전극 온도 모니터링을 사용하여 심실내의 바늘 절제 중에 병변이 발생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냉각 된 심실내 바늘 절제 병변은 임상 적으로 유용한 너비로 심실내 바늘 절제술의 주된 단점 중 하나를 해결했습니다.

 

 

 

2013년도 출처자료

Initial Human Feasibility of Infusion Needle Catheter Ablation for Refractory Ventricular Tachycardia

John L. Sapp , Christopher Beeckler , Robert Pike , Ratika Parkash , Christopher J. Gray , Katja Zeppenfeld , Vikas Kuriachan , and William G. Stevenson

Originally published19 Nov 2013

https://doi.org/10.1161/CIRCULATIONAHA.113.003423Circulation. 2013;128:22892295

Other version(s) of this article

Abstract

Background

Ablation of ventricular tachycardia (VT) is sometimes unsuccessful when ablation lesions are of insufficient depth to reach arrhythmogenic substrate.

We report the initial experience with the use of a catheter with an extendable/retractable irrigated needle at the tip capable of intramyocardial mapping and ablation.

심실 빈맥 (VT)의 절제술은 절제상흔기기가 부정맥 병소에 도달하기에 충분한 길이가 되지 않을 때 때때로 실패합니다. 우리는 심근 내 매핑 및 절제가 가능한 카테터팁(끝부분)에서 확장 가능한 / 개폐식 관개 바늘이 있는 카테터를 사용해본 초기 경험을 보고합니다.

 

 

Methods and Results

Sequential consenting patients with recurrent VT underwent ablation with the use of a needle-tipped catheter. At target sites, the needle was advanced 7 to 9 mm into the myocardium, permitting pacing and recording. Infusion of saline/iodinated contrast mixture excluded perforation and ensured intramyocardial deployment.

Further infusion was delivered before and during temperature-controlled radiofrequency energy delivery through the needle.

All 8 patients included (6 male; mean age, 54) with a mean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of 29% were refractory to multiple antiarrhythmic drugs, and 1 to 4 previous catheter ablation attempts (epicardial in 4) had failed.

Patients had 1 to 7 (median, 2) VTs present or inducible; 2 were incessant.

Some intramyocardial VT mapping was possible in 7 patients.

A mean of 22 (limits, 348) needle ablation lesions were applied in 8 patients.

All patients had at least 1 VT terminated or rendered noninducible.

 

During a median of 12 months follow-up, 4 patients were free of recurrent VT, and 3 patients were improved, but had new VTs occur at some point during follow-up.

Two died of the progression of preexisting heart failure without recurrent VT. Complications included tamponade in 1 patient and heart block in 2 patients.

 

재발성 VT를 가진 일련의 시술동의 환자는 바늘 팁 카테터를 사용하여 절제를 받았다.

표적 부위에서 바늘은 심근으로 7 ~ 9mm 전진하여 페이싱과 녹화를 허용했습니다.

식염수 / 요오드 조영제의 주입은 천공을 배제하고 심근 내 배치를 보장합니다.

 

바늘을 통해 온도 제어 고주파 에너지 전달 전과 도중에 더 많은 주입이 전달되었습니다.

평균 좌심실 분출 비율이 29 %8 명의 환자 모두 (남성 6 , 평균 연령 54 )는 여러 가지 항 부정맥 약물에 내성이 있었고

이전의 카테터 절제 시도 (4 명에서 심장외막)는 실패했습니다.

환자는 1 ~ 7(중위수, 2) VT가 나타나거나 유도 가능했다 ; 2는 끊임없는 것이었다.

7 명의 환자에서 일부 심근 내 VT 매핑이 가능했습니다.

8 명의 환자에게 평균 22 (제한, 3-48) 바늘 절제상흔시술이 적용되었습니다.

모든 환자는 적어도 1VT가 종료되거나 비유도성(빈맥유발안됨)으로 전환되었습니다.

 

12 개월의 후속 조치의 중간 기간 동안 4 명의 환자는 재발성 VT가 없었으며

3 명의 환자가 개선되었지만 후속 조치 중에 새로운 VT가 발생했습니다.

2 명은 재발성 VT없이 기존의 심부전의 진행으로 사망했습니다.

합병증으로는 1 명의 환자에서 탐포네이드와

2 명의 환자에서 심장 차단이 포함되었습니다.

 

Conclusions

Intramyocardial infusion-needle catheter ablation is feasible and permits control of some VTs that have been refractory to conventional catheter ablation therapy, warranting further study.

심내 주입 바늘 카테터 절제는 실현 가능하며

기존의 카테터 절제 시술로 듣지 않았던 일부 VT를 제어가능하고,

추가 연구를 보증합니다.

 

 

April 02, 2019 출처자료

FEATURED

Published in Cardiology

Journal Scan / Research · April 02, 2019

Infusion Needle Radiofrequency Ablation for Treatment of Refractory Ventricular Arrhythmias

JACC: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1 Expert Comment

 

TAKE-HOME MESSAGE

In this multicenter study, the authors evaluated the safety and efficacy of a novel radiofrequency ablation catheter for treating deep myocardium arrhythmias refractory to medication and conventional ablation therapy. Using an extendable/retractable 27-gauge needle, the authors treated 31 patients suffering from monomorphic ventricular tachycardia or incessant ventricular arrhythmia. The procedure was associated with reduction in ventricular tachycardia and suppression of ventricular arrhythmia in most patients. Some improvement continued over 6 months of follow-up, with up to 48% of treated patients experiencing no recurrent arrhythmia.

The authors concluded that intramural needle radiofrequency ablation offers an effective and low-risk option for treatment of refractory ventricular arrhythmias.

 

 

이 다중연구에서 저자들은 약물 및 재래식 절제 요법에 내성적인 심근 부정맥을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고주파 절제 카테터의 안전성과 효능을 평가했습니다.

확장 가능한 / 개폐식 27 게이지 바늘을 사용하여

저자는 단형 심실 빈맥 또는 끊임없는 심실 부정맥으로 고통받는

31 명의 환자를 치료했습니다. 이 시술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심실 빈맥 감소 및 심실 부정맥 억제와 관련이 있습니다.

일부 개선은 6 개월 동안 계속되었으며, 치료된 환자의 48 %가 재발성 부정맥을 경험하지 못했습니다.

 

저자들은 심실내 바늘고주파 절제술이 잘 치료되지 않는 심실 부정맥 치료에 효과적이고 위험이 낮은 옵션을 제공한다고 결론 지었다.

 

 

 

 

'심실빈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PSVT에서 전극도자절제술을 언제할까?  (0) 2019.08.06